━━━━ ◇ ━━━━
파이썬/코드잇

Python 01.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복습 with 코드잇

728x90
반응형


해당 포스팅은 코드잇 복습을 위한 포스팅입니다.
문제 발생 시 즉시 비공개 처리 하겠습니다.


 

파이썬 공부를 시작했다. 해킹보안실무 수업을 들으면서 파이썬을 잠깐 다뤘지만 고작 1주일 동안 배운게 전부였다. 내가 정말 가고 싶은 회사가 있는데, 입사하려면 언어 한 가지 정도는 구사를 할 줄 알아야해서 전문적이고 조금 빠르게 배울 수 있는 곳이 있을까 찾아보다가 코드잇을 발견했다. 

 

웬만하면 매일 배운 것을 업로드하면 좋겠지만 어디까지나 스스로 공부하고 기록을 남기기 위함이기 때문에 자주 못올리게 될지도 모르겠다. CTF등등 할 일이 너무 많아서.. 무튼 복습을 위한 이런 기록들이 도움되기를 바라면서 시작해본다. 

 

 


1. 코멘트(#)

코멘트 사용 이유

● 복잡한 코드 설명

완성되지 않은 부분 표시

다른 개발자들과 소통

 

2. 자료형 개요

프로그래밍이란? 

계산할 수식들을 컴퓨터에게 알려주는 것

 

자료형(Data Type)

1) 숫자

정수(integer) [-1, -2, -3, 0, 1, 2, 3, 4, …]

소수(Floating Point) [3.14, -7.3, 2.0]

일반 계산기에서는 22.0을 같이 취급하지만 파이썬에서는 다르게 취급한다. 

 

2) 문자열(String) 

Hello + world = Hello world

 

Ex) 2, 2.0, “2”  모두 다른 타입

정수 → 2 +5 = 7

문자열  “2” + “5” = “25”

 

3) 불린(Boolean) = 참과 거짓

(true), 거짓(false)

7>3 → True

3>7 → false

 

3. 추상화 개요

추상화(Abstraction)

복잡한 내용은 숨기고, 주요 기능에만 신경쓰는 것

 

추상화의 3단계

1) 변수(variable) → 값을 저장하는 것

2) 함수(function) → 명령을 저장하는 것

Print 함수: 괄호안에 있는 것을 출력해주는 파이썬에 내장된 함수

 

3) 객체(object) 

 

4. 변수

버거 4990

감자튀김 1490

음료 1250

print(4990)
print(4990 * 2)
print(4990 + 1490)
print(4990 * 3 + 1490 * 2 + 1250 * 5)

[위와 같은 코딩을 했을 때 문제]

1) 코드를 이해하기 어렵다.

2) 값을 입력하기 귀찮다

3) 고치기 어렵다.

즉 메뉴가 많아지고 프로그램이 커지면 힘들어진다. 그래서 변수를 쓰는 것이다.

 

[좋은 예]

burger_price = 4990
fries_price = 1490
drink_price = 1250

print(burger_price)
print(burger_price * 2)
print(burger_price + fries_price)
print(burger_price * 3 + fries_price * 2 + drink_price * 5)

#실행결과
4990
9980
6480
24200

프로그래밍에서 등호는 지정연사자이다.

등호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에 있는 값에 지정해준다는 뜻이다. 

728x90
반응형
COMMENT